아파트 내부 인테리어 썸네일

완벽한 집꾸미기를 위한 아파트 내부 인테리어 공사

완벽한 집꾸미기를 위해서 어떤 순서로 내부 인테리어 공사를 하면 좋을까요?

인테리어 공사도 순서에 맞게 해야지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잘 계획된 공정관리는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예산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품질 확보에 큰 역할을 합니다.

인테리어 공사

계획과 준비가 절반이다

속담에도 있는 시작이 반이다. 처럼 계획과 준비를 하는 것이 절반은 가는 것입니다.

어느 부위를 인테리어 할지, 어느정도의 기간과 비용이 들어가는지 계획해야합니다.

오래된 아파트라면 외부 창호부터 시작을 할 것이고, 준신축이라면 내부 마감만 해당할 수 있습니다.

창호부터 시작할꺼라면 주변 벽체도 손상이 될 수 밖에 없으므로, 포함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배관이나 전기 설비까지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체 공사에 영향을 많이 주므로 초기에 정확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오래된 구축 아파트

꼭 해야하는 외부창호 및 단열재

외부창호, 단열재를 포함한 벽체 마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래된 아파트 일 수록 예전 기준에 맞춘 단열성능으로 공사가 되어있기 때문에 외부창호와 단열재를 바꿔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나온 외부창호는 기밀성, 단열성능이 매우 좋아서 집의 온도 유지에 좋고, 성능이 좋은 만큼 외부 소음 차단도 잘 됩니다.

그리고 창호를 바꾸는 김에 손상이 될 수 밖에 없는 주변 벽체도 같이 철거를 해서 오래된 단열재를 새로 바꿔주고, 그 위에 벽지를 바르면 깨끗해집니다.

선택사항인 중문

중문은 장단점이 있습니다. 공간이 좀 넓은 최소 25평 이상의 구축 아파트라면 중문을 해도 괜찮을듯 합니다.

중문을 하면 좋은점은 외부와의 1차 차단을 추가할 수 있고, 문만 열렸을 때 내부가 안보일 수 있다는 것이 있습니다. 현관과 분리된 곳으로 우리집을 더 프라이빗 하게 꾸밀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문의 단점은, 중문을 하기 위해서는 신발장 까지 새로 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평면도상 중문을 설치하기에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범위를 잘 설정해야합니다.

그리고 중문을 설치하고 나면 현관문을 닫을 때 공기의 압 때문에 잘 안닫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중문이 열려 있을 때와 닫혀 있을 때의 현관 내부 공기의 차이 때문에 현관문이 닫히는 게 달라져서 조금 불편할 수 있습니다.

모두들 하는 기본인 도배

구축 아파트 인테리어는 도배가 기본이죠. 오래된 벽지를 뜯어내고 새로운 도배를 하면 정말 깨끗합니다. 위에서 말한 창호나, 중문 등 다른 것은 안해도 도배는 꼭 하죠.

도배지는 실크벽지랑 합지벽지가 있습니다. 최근엔 전부 실크벽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축이라면 합지벽지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은데, 도배의 이음부위가 5mm 정도 겹쳐 있다면 대부분 합지벽지로 보시면 됩니다.

합지벽지는 전부 뜯어내고 흰색 초배지를 바른 후 실크벽지를 봉투바름 해주면 팽팽하고 깨끗한 도배를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엔 혼자서도 할 수 있도록 풀바른 도배지도 많이 나오니, 한번 도전해보세요

준신축 아파트

준신축 아파트에 들어가시는 분들은 도배는 당연하고, 중문을 많이 고민하십니다.

도배 새로하기

도배의 선택은 살고 있는 사람의 개인 취향에 따라 고르는 거라서 구축과 동일하게 시공해주시면 됩니다.

준신축이면 실크벽지로 되어있을 경우가 많습니다. 합지벽지와 다르게 실크벽지는 보통 이음부가 딱 맞게 되어있습니다.

실크벽지의 철거는 전체를 다 뜯어내는 것이아니라 실크벽지의 바깥 종이만 벗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음부에서 칼로 살살 하면 벗겨지는데 그렇게 하고 나면 초배지를 바를 필요 없이 풀바른 도배지를 그냥 붙이기만 하면 깨끗하게 붙여집니다.

타일 줄눈 시공

신축아파트에도 가면 타일 줄눈에 대한 광고가 많이 있습니다.

일반 백시멘트로 되어있는 줄눈은 시공하기에 간편하나 오래 사용하면 때도 끼고, 곰팡이도 잘 생깁니다.

그래서 기존 백시멘트를 긁어서 없애주고, 탄성과 곰팡이에 강한 제품을 넣어줍니다.

그럼 깔끔한 줄눈을 보실 수 있습니다.

광고에 보니 금색, 은색 처럼 반짝이는 것도 있고 깔끔한 흰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다음시간엔 인테리어 시공업체를 어떻게 정하는지에 대한 글을 작성하겠습니다.